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해외 직구 반품 시 관세 환급 방법

by buzawealth 2025. 3. 28.

돈 돌려받는 꿀팁! 반품했다고 관세까지 날릴 순 없잖아요?

요즘은 해외 직구 한두 번쯤은 다 해보셨죠?
국내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고, 한정판도 많아서 장바구니는 늘 넘쳐나곤 합니다. 😅

그런데 문제는…
사이즈가 안 맞거나, 불량이거나, 마음이 바뀌어서 반품할 때!
물건은 반품했는데, 이미 낸 관세는 그대로라는 현실… 괜히 억울하죠?

하지만 희소식!
해외 직구로 물건을 들여오고 정상적으로 반품하면, 이미 낸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!
다만, 몇 가지 절차와 서류가 필요합니다. 지금부터 반품 시 관세 환급받는 방법을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!


✅ 관세 환급이 가능한 조건은?

무조건 환급되는 건 아닙니다.
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환급 가능합니다.

  1. 정상 통관된 물품일 것
    → 개인이 정식 수입 신고를 통해 들여온 물품이어야 함
  2. 물건을 반품했을 것
    → 교환이 아니라 **반품(수출)**이어야 함
  3. 세관 환급 신청 기한 안에 할 것
    물품 수입일로부터 2년 이내에 신청해야 함
  4. 물품이 완전히 다시 해외로 나갔을 것
    → 수출 신고가 되어야 함

🧾 관세 환급 절차 요약

1. 반품 및 수출신고 준비

  • 물건을 반품하기 위해 택배를 다시 해외로 보냅니다.
  • 반품 시 EMS, DHL 등 국제 배송사를 통해 보내야 추적 가능하고, 수출신고번호가 나옵니다.

2. 수출 신고 필수

  • 수출신고필증을 받아야 합니다.
  • EMS는 보통 자동 신고되지만, 배송사에 확인이 필요합니다.

3. 환급 신청 서류 준비

환급을 위해 아래 서류가 필요해요.

서류명발급처 또는 구비 방법
수입신고필증 관세청 또는 구매한 배송대행지에서
수출신고필증 EMS/DHL 등 국제 배송사
환급신청서 관할 세관 또는 HUNET 시스템
영수증(카드명세서 등) 구매처 또는 카드사
반품 확인 내역 구매처의 반품 승인 메일 또는 화면 캡처

💻 어디서 신청하나요?

온라인으로 신청하기 (HUNET)

👉 관세청 유니패스 바로가기

  1. 로그인 > 환급신청 메뉴 선택
  2. 필요한 서류 업로드
  3. 반품한 상품의 정보 입력
  4. 환급 계좌 입력 후 신청 완료!

→ 평균적으로 2~3주 이내 환급됩니다.
→ 환급액은 카드 결제 시 원화 기준으로 입금됩니다.


📦 쇼핑몰별 참고사항

✔️ 아마존

  • 아마존은 반품 승인 시 반품 라벨 제공
  • EMS로 반품하면 자동 수출 신고되는 경우 많음
  • 반드시 반품 승인 메일 보관해야 함

✔️ 아이허브(iHerb)

  • 일부 품목은 반품 불가
  • 반품 주소지와 수출 가능 여부를 고객센터 통해 확인해야 함

✔️ 쇼피, 알리익스프레스

  • 반품보다 환불 처리가 일반적이어서 관세 환급이 어렵습니다
  • 관세를 아예 부과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

💸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?

  • 관세 + 부가세 전액 환급 가능
  • 다만 배송비, 반품 비용은 본인 부담
  • 15만 원 넘는 고가 제품의 경우 환급액이 몇 만 원 이상 될 수도 있어요!

🧠 자주 묻는 질문

Q. 반품했는데 수출신고가 안 됐대요. 왜죠?

→ 배송사가 자동 수출신고 안 했을 수도 있어요. EMS 우체국에 요청해서 수출신고필증 발급 받아야 합니다.

Q. 반품비가 더 나와서 포기하려고요.

→ 고가 제품이 아닌 이상은 환급보다 반품비가 클 수 있어요.
→ 이런 경우는 판매자와 사전 협의 후 환불만 받고 반품은 생략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어요.


🎯 마무리 요약

단계핵심 내용
1단계 정식 통관 후 물품 반품 진행
2단계 수출신고 완료 + 수출신고필증 확보
3단계 관세청 유니패스 통해 환급 신청
4단계 2~3주 내 환급 (계좌입금)

👉 해외 직구 반품, 절대 관세까지 손해보지 마세요!
👉 조금만 번거로워도, 수십만 원 아낄 수 있는 꿀팁입니다.
👉 이 글 즐겨찾기 해두고 필요할 때 꼭 써먹으세요!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