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우리 부모님, 받을 수 있을까? 꼭 챙겨야 할 기초연금 A to Z
"우리 부모님 기초연금 받을 수 있나요?"
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음에도 몰라서 못 받는 경우,
또는 헷갈려서 신청을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기초연금은 말 그대로 기초생활을 위한 국가의 지원금인데요,
정해진 연령과 소득 및 재산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.
오늘은 기초연금의 정확한 지급 대상과 신청 조건, 금액, 그리고 신청 방법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 부모님께 꼭 알려드리세요. 🙏
✅ 기초연금이란?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복지 제도입니다.
소득이 적거나 재산이 많지 않은 어르신들이 기초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해주는 제도죠.
👉 쉽게 말해, 국민연금 수령액과 별개로 받는 복지금입니다!
✅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령 금액
- 단독 가구 최대 월 40만 6,000원
- 부부 가구 최대 월 64만 9,920원
※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됨
📌 매년 물가 상승률과 정부 예산에 따라 지급 금액이 인상됩니다.
2024년까지는 월 최대 32만 원 수준이었으나, 2025년부터 상향되었습니다!
✅ 기초연금 지급 대상은?
기초연금은 단순히 나이만 넘는다고 다 받는 건 아닙니다.
나이 + 소득/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.
🔸 1. 연령 요건
- 만 65세 이상
→ 출생일 기준으로 만 65세가 되는 달의 1일부터 신청 가능
🔸 2. 대한민국 국적 + 국내 거주
- 국내에 주민등록이 있는 자
🔸 3. 소득인정액 기준 (2025년 기준)
2025년 기준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단독가구 | 약 223만 원 이하 |
부부가구 | 약 356만 원 이하 |
📌 여기서 ‘소득인정액’이란 실제 소득 +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말합니다.
즉, 월급뿐 아니라 집, 자동차, 금융자산 등도 고려됩니다.
🧾 소득인정액 계산 예시
국민연금 수령액 | 60만 원 |
은행 예금 이자 | 5만 원 |
자동차 | 없음 |
재산 (집) | 1억 5천만 원 (공시가 기준) |
이럴 경우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해 합산하면 소득인정액 200만 원 정도로 책정되어
기초연금 수급 가능 판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.
✅ 신청 방법 (어렵지 않아요!)
📍 어디서 신청하나요?
- 읍/면/동 주민센터
- 국민연금공단 지사
- 온라인 신청: 복지로 사이트 → https://www.bokjiro.go.kr
📍 필요한 서류는?
-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- 통장사본
- 소득 및 재산 관련 서류 (필요 시)
- 대리 신청 시 위임장 + 대리인 신분증
📌 온라인 신청은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필요합니다.
인터넷 활용이 어려운 부모님 대신 자녀가 대리 신청 가능합니다.
🤔 자주 묻는 질문
Q. 국민연금 받고 있는데, 기초연금도 받을 수 있나요?
→ 네! 국민연금 수령 여부와 무관하게 지급됩니다.
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 일부 감액될 수 있어요.
Q. 부부가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→ 둘 다 조건 충족 시 각자 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부부 감액이 적용돼 100%는 아닐 수 있습니다.
Q. 재산이 좀 있는데 못 받을까요?
→ 재산만 많다고 탈락하진 않습니다. 소득과 함께 전체 소득인정액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면 가능성이 있습니다.
💡 꼭 기억하세요!
- 만 65세가 되는 달 1일부터 신청 가능!
- 신청 시점부터 지급, 즉 늦게 신청하면 손해!
- 매년 기준이 조금씩 바뀌니 자녀가 부모님 대신 챙겨드리면 베스트!
🎯 마무리 요약
나이 | 만 65세 이상 |
소득 | 단독가구 약 223만 원 / 부부가구 약 356만 원 이하 |
금액 | 최대 월 40.6만 원 (2025년 기준) |
신청 | 주민센터, 국민연금공단, 복지로 사이트 |
👉 기초연금은 받을 수 있으면 무조건 받는 게 이득입니다.
👉 주변 부모님이나 어르신들께 이 글 공유해 주세요.
👉 매달 수십만 원 차이, 이 글 하나로 바뀔 수 있어요! 🙌